2023. 4. 18. 18:04ㆍ채권
경기 침체가 우려되는 가운데 글쓴이는 주식에서 채권으로 자산을 움직이고 있습니다.
개인이 국채에 직접적으로 투자하기에는 조금은 까다롭기에 채권ETF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전 경기 침체를 참고해보면 우리나라는 원자재, 유럽, 미국은 채권에 투자했을 때 가장 수익률이 높았던 것을 근거로 채권으로 자산을 움직이고 있는데, 한가지 우려되는 상황은 현재 내가 투자하는 채권ETF는 미국채에 너무 몰려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증권 관련 업무를 하고 있는 동생과 여러가지 의견을 나누어 보면서 유럽채권에 분산을 해야할 필요를 느꼇고 유럽채권의 종류, 각 자산의 변동성을 조사해보려고 한다.
이번 글은 유럽채권에 초점을 맞춘 채권ETF를 기간, 수익에 따라서 분류해보았습니다.
1. 단기 채권 ETF
iShares 유로 회사채 1-3년 UCITS ETF(SUSC)
SPDR Barclays 1-3년 유로 국채 UCITS ETF(ESE3)
뱅가드 유로 단기 채권 ETF(VSEU)
2. 중기 채권 ETF
iShares 유로 회사채 UCITS ETF(IEAC)
Xtrackers II 유로존 국채 UCITS ETF(DBZB)
iShares Euro Aggregate Bond UCITS ETF(IEAG)
3. 장기 채권 ETF
iShares 유로 국채 10-15년 UCITS ETF(IBGL)
iShares 유로 국채 15-30년 UCITS ETF(IBGM)
뱅가드 유로존 장기 채권 ETF(VLUE)
4. 고수익 채권 ETF
iShares 유로 고수익 회사채 UCITS ETF(IHYG)
Xtrackers II EUR 고수익 회사채 UCITS ETF(XHYG)
SPDR Bloomberg Barclays 유로 고수익 채권 UCITS ETF(SYBJ)
5. 인플레이션 보호 채권 ETF
Xtrackers iBoxx EUR 인플레이션 연계 UCITS ETF(XDEZ)
SPDR Barclays 유로 정부 인플레이션 연계 채권 UCITS ETF(INFL)
Amundi 유로 인플레이션 ETF(INFL)
다음 글들은 각 채권 ETF의 구성종목, 변동폭 이전 경제 침체 시기의 움직임들을 공부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채와 국채: 주요 차이점 설명 (2) | 2024.03.20 |
---|---|
채권 투자의 기본: 수익률, 가격, 만기 이해 (0) | 2024.03.20 |
채권 투자를 할 때 생각해야 하는 것들 (0) | 2023.03.30 |
채권의 종류 (0) | 2023.03.30 |
장기 채권과 단기 채권의 차이점? (0) | 2023.03.29 |